Wednesday, November 28, 2012

particle and marker(용어)



particle
A word that does not change its form through inflection and does not easily fit into the established system of parts of speech. Particles are closely linked to verbs to form multi-word verbs (for example, go away).
Other particles include to used with an infinitive and not (a negative particle).


discourse marker
Definition:
A particle (such as oh, well, now, and you know) that is used in conversation to make discourse more coherent but that generally adds little to the paraphrasable meaning of an utterance.
In most cases, discourse markers are syntactically independent: that is, removing a marker from a sentence still leaves the sentence structure intact. Discourse markers are more common in informal speech than in most forms of writing.
(Richard Nordquist, About.com Guide)



"Among individual words commonly so classed are the negative particle not (and its contraction n't), the infinitival particle to (to go; to run), the imperative particles do, don't (Do tell me; Don't tell me) and let, let's (Let me see now; Let's go). There is also a set of adverbial and prepositional particles that combine with verbs to form phrasal verbs (out in look out; up in turn up) and prepositional verbs (at in get at; for in care for)."
(Sidney Greenbaum, "Particle," Oxford Companion to the English Language. Oxford Univ. Press, 1992)



"Particles are short words . . . that with just one or two exceptions are all prepositions unaccompanied by any complement of their own. Some of the most common prepositions belonging to the particle category . . .: along, away, back, by, down, forward, in, off, on, out, over, round, under, up."
(Rodney Huddleston and Geoffrey Pullum, A Student's Introduction to English Grammar. Cambridge Univ. Press, 2006)


discourse marker가 담화표지를 뜻하므로 조사를 marker라 하지 않고 particle이라고 함이 적절할 듯하다.

보어절(complement clause) 부정사절(infinitive clause)

영어 통사론 용어 중에 complement clause라는 게 있다 어떤 사전은 이 용어의 번역을 종속절이라고 하나 종속절에 속하는 하위 절 중의 하나이다.
complement clause는 명사나 동사의 의미를 보충해 주는 종속절(subordinate clause)이다.


아래와 같은 경우의 절들은 보어절(complement clause)의 기능을 한다
1.종속절 단독으로 believe, tell, say, know, and understand와 같은 동사의 직접목적어의 기능을 할 때
2.종속절이 명사(story, rumor, fact 등)와 형용사(proud, happy, sad 등)를 수식할 때
3.Predicates(be a pity, be a nuisance, be unfortunate, seem, and happen)과 함께 주어로 기능 할 때(이런 것들은 주격보어(subject complement) 또는 주격보어절(subject complement clause)라 불린다.)
Sometimes the term 'complement clause' is extended to the adverbial type of subordinate clause as well.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underlined subordinate clauses are complements of verbs before them(believe, tell, say, know).

  • I don't believe that it will work
  • Tell John not to wake me
  • Ima said she was going home early
  • We all know why she went.

In the next examples, the underlined subordinate clauses are complements of the various nouns(story, rumor, fact) and adjectives(proud, happy, sad) immediately before them.


  • The story that Christ visited England is just wishful thinking
  • The staff were worried by the rumor that a takeover was imminent
  • The fact that you're safe is all that I care about
  • We are proud that the President came to visit us
  • He was very happy to oblige us
  • But we were sad that he could not say.
Finally, the underlined subordinate clauses below are the subject complements of the predicates(be a pity, be a nuisance, be unfortunate, seem wrong, happen) immediately following them. (이 부분은 subject complement의 정의와 비교할 때 subject complement라고 정하는 게 일치하지 않는다. 주어로 쓰였으므로 subject complement clause라고 해야 할 것이다. the subject complementing the predicates라고 하면 더 명확하고 깔끔 할 텐데 )

  • For Helen, not to see her father was a great pity. 
  • That the bees warmed in your apple tree was a nuisance. 
  • That you arrived just at that moment was most unfortunate. 
  • To do it on my own seems wrong. 
  • That humans evolved in this particular way just happened.
참고문헌 (James R. Hurford, Grammar: A Student's Guide P. 34. Cambridge Univ. Press, 1994)


Complement를 보기 전에 Linking verb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해 둘 필요가 있다.

"These copular verbs (also linking verbs) can be divided semantically into two types: (1) Those like be that refer to a current state: appear, feel, remain, seem, sound. (2) Those that indicate a result of some kind: become, get (wet); go (bad); grow (old); turn (nasty). Be is the copula that most often takes adverbial complements which characterize or identify the subject: I felt cold; I felt a fool."
(Sylvia Chalker, "Copula," in The Oxford Companion to the English Language, edited by Tom McArthur,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complement

A word or word group that completes the predicate in a sentence.

The two kinds of complements are subject complements (which follow the verb be and other linking verbs) and object complements (which follow a direct object). If it identifies the subject, the complement is a noun or pronoun; if it describes the subject, the complement is an adjective.





Infinitive Clauses as Subjects and Objects
"A subordinate clause with an infinitive often acts as the subject or object of the main clause.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whole infinitive clause [in bold] is understood as the subject of is human, is decadent or was unnecessary.
- To err is human.
- To drink Martinis before noon is decadent.
- For Mervyn to redirect Maggie's mail was unnecessary.
And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whole infinitive clause [again in bold] is understood as the direct object of hates, loves and expected.
- Jim hates to wash his car.
- Rosie loves to plan parties.
- Phil expected Martha to stay at home all day.
In case this is not obvious at first, you can test this by answering questions such as What does Jim hate? (answer: to wash his car), or What did Phil expect? (answer: Martha to stay at home all day)."
(James R. Hurford, Grammar: A Student's Guide. Cambridge Univ. Press, 1994)


주로 목적어를 구별할 때 영어는 목적어를 동사의 행위를 받는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구별하고, 한국어는 목적격조사 을/를이 올수 있는지 확인해 봄으로써 구별한다는 점이 다른 것 같다.

Thursday, November 15, 2012

직접명령과 간접명령관련 자료들



  
"가-'와 같이 ''로 끝난 자동사의 명령형은 '가라'가 아니고 '가거라'가 된다. '사다''가다'와 같이 ''로 끝나 있으나 타동사이기 때문에 규칙적인 '-아라'가 붙는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가다'의 불규칙적 성격을 잘 알 수 있다. 명령형으로 '-거라'를 취하는 용언을 '거라' 불규칙용언이라 하고 '-아라' 대신 '-거라'가 붙는 현상을 '거라' 불규칙 활용이라 한다."(표준국어문법론)

"‘-거라불규칙을 인정하는 견해에 따르면, ‘가다가다로 끝나는 동사의 직접 명령은 가거라와 같이 ‘-거라로 나타나고, 간접 명령은 ‘-가 붙어 가라와 같이 쓰일 것입니다. 한편, ‘-거라불규칙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직접 명령은 ‘-아라’, ‘-거라가 붙은 가라’, ‘가거라로 쓰일 수 있겠고, 간접 명령은 ‘-가 붙은 가라로 쓰일 것입니다."(국어원답변 중에서)4

국거원 답변을 보니까 책에 나온 명령형은 직접명령과 간접명령 중 직접명령형을 지칭하는 것이구나.

그 외
http://bookeditor.org/qna/aread.php?id=1431&code=bplsub9a&bookid=&start=





Wednesday, November 14, 2012

final endings and each register comparison





 
 
 

 
 
해라
하게
하오
합쇼
해요
평서형
-(/)
-
-
-()
-
-어요
의문형
-()
-()
-
-()
-
-어요
감탄형
-()구나
-()구먼
-()구려
 
-, -
-어요
명령형
-어라
-
-
-()시오
-
-어요
청유형
-
-
 
-()시다
-
-어요


해라체 <언어> 상대 높임법의 하나. 상대편을 아주 낮추는 종결형으로, ‘철수야, 빨리 자라. 내일새벽에 운동해야 한다.’ 따위이다.
 
[비슷한 말] 해라1. 평서형 '-()'는 형식적으로는 해라체(격식체 비존대(아주낮춤))이나 해라체의 정의와는 다르게 중화적인 구실을 한다.
이는 형식적인 구분일 뿐으로 해라체를 쓴다고 해서 남을 아주 깔보는 것은 아니다.
'-()'(의문) , -()구나(감탄), -어라(명령), -(청유)은 해라체이며 그 정서상 느낌은 해라체의 정의와 비슷하다.
 
하게체 <언어> 상대 높임법의 하나. 보통으로 낮추면서 약간 대우하여 주는 종결형으로, 어느 정도 나이가 든 화자가 나이가 든 손아랫사람이나 같은 연배의 친숙한 사이에 쓴다. ‘김 군.이것 좀 연구해 보게. 혼자 할 수 있겠나?’ 따위이다. [비슷한 말] 하게. 평서형 -네 의문형 -()
감탄형 -()구먼 -구먼 ‘-9’의 본말.
(‘이다의 어간,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 ‘--’ 뒤에 붙어) 해할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 화자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흔히 감탄의 뜻이 수반된다. 뒤에는 보조사 17’가 오기도 한다.
학교가 참 크구먼. 크군
그것 참 그럴듯한 생각이구먼그래.
얼리겠군 -는구먼 잘 달리는구먼(달리는군)
명령형 -(젊은 사람들 중에서 잘 쓰이지 않음)
청유형
(" " 소설이나 드라마에서나 볼 듯한 종결어미) (받침 없는 동사 어간이나 받침인 동사의 어간 뒤에 붙어) 하게할 자리에 쓰여, 어떤 행동을함께 하자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구경하러 가세. 이제 그만 일어나세.



해라체와 하게체를 비교 해 볼 때 중화적인 해라 평서형 -()다 이외의 종결어미가 서로 비교하였을 때 낮춤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07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 ‘--’ 뒤에 붙어)
1 .
하게할 자리에 쓰여, 단순한 서술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하게 평서형)
 
2 .
해할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 지금 깨달은 일을 서술하는 데 쓰이는 종결 어미. 흔히 감탄의 뜻이 드러난다.(해 감탄형)
 
-()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 ‘--’ 뒤에 붙어)
1 .
하게할 자리에 쓰여, 현재의 사실에 대한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하게 의문형)
2 .
(주로 ‘-는가 하다’, ‘-는가 싶다’, ‘-는가 보다구성으로 쓰여) 자기 스스로에게 묻는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상대높임법 논외)
 
이로써, '-()?'가 자기 스스로에게 묻는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낼 때는 상대높임법에서는 논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가는 하게
 
"-는다/-
(‘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 뒤에 붙어) 해라할 자리에 쓰여, 스스로에게 묻는 물음을나타내는 종결 어미. 주로 누구’, ‘무엇’, ‘언제1’, ‘어디1’ 따위의 의문사가 있는 문장에 쓰인다.
 

하오체<언어> 상대 높임법의 하나. 상대편을 보통으로 높이는 종결형으로, 현대 국어의 구어에서는 거의 쓰지 않는다. ‘빨리 인도로 나오시오.’, ‘왜 꾸물거리시오?’ 따위이다. [비슷한 말] 하오1.One of relative honorifics. The word '보통으로 높이는' should be compared with '아주 낮추는' and '보통으로 낮추는'. The key word is 높이는, 낮추는 in each register. Though I agree with the definition that 하오체 is mostly not used in spoken Korean, I don't think 하오체 is the closing form used for normal honorific(상대편을 보통으로 높이는 종결형). If anything, 하오체 is neutral form having no level of honorific or humilific except 감탄형.  

평서형 -오의문형 -오감탄형 -는구려 cf. 하라체 -(느)ㄴ구나 하게체 -(는)구먼 In 감탄형 there's difference between 해라 and other two registers(하게체 and 하오체) when comparing speech level, but when 감탄형 하게체 and 하오체 are compared, unlike the dictionary definition and my grammar book(표준국어문법론), I see no difference in speech level. cf. 아이들이 신나 보이는군(보이는구먼). 아이들이 신나 보이는구려.
Both two final endings, -(는)구먼 and -(는)구려 sounds antiquated.(내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감탄형 하게체 '-(는)구먼' 와 하오체 '-(는)구려'는 듣는 이를 더 높이냐 낮추느냐에 대한 차이가 없다. 두 감탄형 종결어미 다 옛날말처럼 들린다. But, 하게체 -(는)구먼 and 하오체 -(는)구려 명령형 -오 cf. 하라체 -여라/-어라 e.g 배운대로 해라(하여라). 이것 좀 먹어라.                    하게체  e.g 배운대로 하시게 이것 좀 먹으시게. 드시게.청유형 없음

-오(‘이다’, ‘아니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하오할 자리에 쓰여, 설명ㆍ의문ㆍ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그대를 사랑하오 (평서형, 설명)건강은 건강할 때 지키는 것이 중요하오. (평서형, 설명)얼마나 심려가 크시오? (의문형, 의문) 정말로 해직이 되는 것이오?(" ")부모님이 기다릴 테니 빨리 집으로 돌아가오.(명령형, 명령)  cf. 하게체 돌아가시게 하라체 돌아가라. final endings(종결어미) -아라, -어라, -여라

-는구려(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하오할 자리에 쓰여, 화자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주목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흔히 감탄의 뜻이 수반된다.
아이가 글을 잘 읽는구려.오늘은 참 잘 잡수시는구려.


-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서술하거나 물음명령청유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나는 지금 밥 먹어.(서술, 평서형)
아이, 예뻐.(감탄형)
뭐가 그리 우스워?(물음, 의문형)
빨리 불어.(명령형)
우리 함께 읽어.(청유형, 청유형을 로 하면 약간 손발이 오글거린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해라체의 청유형어미 가 해체에 포함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해체
<언어> 상대 높임법의 하나. 상대편을 높이지 않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형으로, 격식체인 해라체하게체를 쓸 자리에 두루 쓰는 비격식체이다. ‘철수야, 이리 와서 먹어.’ 따위이다. [비슷한 말] .
나중에 종결법과 높임법 부분을 다시 보면서 이 부분을 정리해 놓아야겠다.


 




final ending system summary







 
해라
하게
하오
합쇼
해요
평서형
-(/)
-
-
-()
-
-어요
의문형
-()
-()
-
-()
-
-어요
감탄형
-()구나
-()구먼
-()구려
 
-
-어요
명령형
-어라
-
-
-()시오
-
-어요
청유형
-
-
 
-()시다
-
-어요

(표준국어문법론 2011 by Namkisim and Goyeonggeun)
하게체 평서형에 쓰이는 종결어미 -네는 해체 감탄형에도 쓰인다.
-네07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1 .하게할 자리에 쓰여, 단순한 서술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하게 평서형)e.g.자네 차례네.나 지금 가네.  (하게 평서형)
2 .해할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 지금 깨달은 일을 서술하는 데 쓰이는 종결 어미. 흔히 감탄의 뜻이 드러난다.(해 감탄형)e.g.우리 아이 노래도 잘 부르네!집이 참 깨끗하네. 
-(느)ㄴ가-는가/-ㄴ가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1 .하게할 자리에 쓰여, 현재의 사실에 대한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하게 의문형)그게 정말인가?e.g.시간 좀 있는가?가진 돈 좀 없는가?2 .(주로 ‘-는가 하다’, ‘-는가 싶다’, ‘-는가 보다’ 구성으로 쓰여) 자기 스스로에게 묻는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상대높임법 논외)e.g.과연 이 땅에도 봄은 오는가?저는 저 애가 왜 저러는가 했지요.(주로 ‘-ㄴ가 하다’, ‘-ㄴ가 싶다’, ‘-ㄴ가 보다’ 구성으로 쓰여) 
난 혹시 저분이 어머니이신가 했지.물이 찬가 보다."
이로써, '-(느)ㄴ가?'가 자기 스스로에게 묻는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낼 때는 상대높임법에서는 논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느)ㄴ가는 하게 
"-는다/-ㄴ다(‘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 뒤에 붙어) 해라할 자리에 쓰여, 스스로에게 묻는 물음을나타내는 종결 어미. 주로 ‘누구’, ‘무엇’, ‘언제1’, ‘어디1’ 따위의 의문사가 있는 문장에 쓰인다.
오늘은 무슨 소설을 읽는다?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해라할 자리에 쓰여, 현재 사건이나 사실을 서술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누군가 나를 본다.아침부터 비가 내린다."

prefinal ending -(느)ㄴ-.-는-(‘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다른 어미 앞에 붙어) 이야기하는 시점에서 볼 때 사건이나 행위가 현재 일어남을 나타내는 어미. 종결 어미 ‘-다7’, ‘-다고3’, ‘-다나’ 따위와 결합하여 확대된 종결 어미 ‘-는다1’, ‘-는다고2’, ‘-는다나’ 따위를 만들기도 하고, 종결 어미 ‘-구나3’, ‘-구먼’, ‘-군9’ 따위와 결합하여 확대된 종결 어미 ‘-는구나’, ‘-는구먼’, ‘-는군’ 따위를 만들기도 한다.
귀로는 소리를 듣는다.네 시에 가게 문을 닫는다면 너무 이르다.
-ㄴ-(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다른 어미 앞에 붙어) 이야기하는 시점에서 볼 때 사건이나 행위가 현재 일어남을 나타내는 어미. 주로 종결 어미‘-ㄴ다1’, ‘-ㄴ다고2’, ‘-ㄴ다나’ 따위를 만들기도 한다.돈은 내가 낸다.내린다던 비가 정말 온다.
-(느)ㄴ-은 본책의 상대높임법 종결어미 표에서 해라, 하게, 하오에서 확인에 나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