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 장애 o
모음: 장애 x
破裂音의 발음과정은 조음위치에서 '폐쇄-지속-파열'의 세 단계로 구분해서 봄
破裂音 例: 'ㅂ/ㅍ/ㅃ', 'ㄷ/ㅌ/ㄸ', 'ㄱ/ㅋ/ㄲ'
There is 未破音(unreleased sound) among allophones of plosive. The unreleased sound is the sound in which a bust of air is omitted. e.g. 'p>, t>, k>'
Some uses 'stop(閉鎖音)' instead of 'plosive' since it's not tenable that a bust of air is not released in allophones of plosive. But technically in linguistics, plosive is subordinate to stop. The stop is distinguished by starting-point of airflow and direction.
classification starting-point of air flow direction
plosive(破裂音) lungs exhalation
stop implosive(內破音) vocal folds inhalation
(閉鎖音) ejective(放出音) vocal folds exhalation
click(軟口盖) soft palate exhalation
(BTW, There's no implosive, ejective, click in Korean phonetics or phonology.
'Youtube Video Clip explaining click sound'
Ejective sound)
And since the representative allophones of plosives—p<, k<, t<—go though the process of sudden bust of air, there's no much problem.
fricatives(摩擦音) in Korean: 'ㅅ/ㅆ' and 'ㅎ'
condition: the flow of air should not be closed.
From the point that the air-passage is obstructed, the sound is not fricative.
affricate(破擦音): 'ㅈ/ㅊ/ㅉ'
Affricates in English—'tʃ, dʒ'—consists of plosive and fricative. This is the reflective of affricate which is consecutive sound of plosive and fricative.
(I've found a good article for comparison between affricate and plosive+fricative in English (esp, the first reply 그 밑의 답들은 음소와 변이음의 개념을 모르고 있는 듯하다...)
This programme enables me to see the concrete shape of sound ^0^)
'ㅅ'와 'ㅈ'을 비교하면 'ㅅ'이 'ㅈ'보다 발음상 혀끝이 더 앞으로 나온다는 걸 알 수 있다.
치조음:ㄷ,/ㅌ/ ㄸ, ㅅ/ㅆ/, ㄴ, ㄹ
Classification of Korean Consonants
Sunday, March 17, 2013
Saturday, March 16, 2013
Phoneme, Prosodeme, and Allophone Exercises
A minimal pair is a group of words differentiated by only one phoneme or prosodeme. Since phoneme or phoneme make it possible to distinguish a meaning of word, the minimal pair can be paraphrased into a meaningful group of words distinguished by only one morpheme or prosodeme.
허리, 우리, 무리, 미리, 다리, 오리, 머리, 소리, 사리, 도리, 요리, 조리, 거리, 서리, 추리, 고리, 유리, 처리, 그리, 저리, 이리
Minimal pairs from the words above are as follows.
1.소리:도리:조리:고리 ( 'ㅇ' doesn't have phonetic value when in first syllable, but signifies soft palatal nasal when in last syllable. When indicating 'o' as a phoneme or prosodeme, it refers to soft palatal nasal.)
2허리:머리:거리:서리:처리:저리
3무리:추리
4다리:사리
(only one consonant)
5.우리:오리:이리:요리:유리 (not sure...)
6거리:고리:그리
7머리:무리:미리
8소리:서리:사리
9도리:다리
10조리:저리
11처리:추리
(only one vowel)
Marking Allophones of Consonant with Symbols
나리 [nari] since phoneme 'ㄴ' is not before '이 or y-diphthong' and phoneme 'ㄹ' is not in last syllable or after 'ㄹ', symbol for 'ㄴ' is 'n' and symbol for 'ㄹ' is 'r'. In this case, n is alveolar nasal(치조 비음), r is tap(탄설음).
후사 [ɸusa] 'ㅎ' is before 'ㅜ' and 'ㅅ' is not before '이, y-diphthong'. 'ɸ' is bilabial fricative(양순 마찰음), 's' is alveolar fricative(치조 마찰음).
샤갈[ʃagal] 'ㅅ' is before y-diphthong and 'ㄱ' is between voiced sounds.
효도[çyodo] 'ㅎ' is before y-diphthong and 'ㄷ' is between voiced sounds.
비약[p<yak>] 'ㅂ' is in first syllable and 'ㄱ' is in last syllable.
녀석[ɲyeosuk] 'ㄴ' before y-diphthong, 'ㅅ' in first syllable, 'ㄱ' in last syllable.
군령[k<uʎʎyeong] 'k<' in first syllable, though 'ㄹ' is after 'ㄹ', the 'ㄴ' sound is pronouned as 'ㄹ', so it's after 'ㄹ' phonetically.
히읗[çieut] 'ㅎ' before 'ㅣ', 'ㄷ' in last syllable
바다[p<ada] 'ㅂ' in first syllable, 'ㄷ' between voiced sounds
Seeing the following two facts, let's set representative of 'ㄹ'.
(1)'y' in '이' or 'y-diphthong' is articulated near hard palate.
(2)The consonant in Korean becomes closed sound when in last syllable.
If representative allophone of 'ㄹ' is tap(r), it's possible to explain its becoming lateral(l) with the (2). And it becomes 'ʎ', affected by '이' or 'y-diphthong', because the place of articulation moves behind.
The following represents words in virtual language with hangeul. Let's judge whether they can perform phonemic function.
감 알주: 이:노
진 상박 달라:닉
뉴: 상보: 사:다:니:
후: 친도: 전대:남
아:주 도:몽 강주:장
용봉도:로: 오:리:품기: 삭닥걸미:
허리, 우리, 무리, 미리, 다리, 오리, 머리, 소리, 사리, 도리, 요리, 조리, 거리, 서리, 추리, 고리, 유리, 처리, 그리, 저리, 이리
Minimal pairs from the words above are as follows.
1.소리:도리:조리:고리 ( 'ㅇ' doesn't have phonetic value when in first syllable, but signifies soft palatal nasal when in last syllable. When indicating 'o' as a phoneme or prosodeme, it refers to soft palatal nasal.)
2허리:머리:거리:서리:처리:저리
3무리:추리
4다리:사리
(only one consonant)
5.우리:오리:이리:요리:유리 (not sure...)
6거리:고리:그리
7머리:무리:미리
8소리:서리:사리
9도리:다리
10조리:저리
11처리:추리
(only one vowel)
Marking Allophones of Consonant with Symbols
나리 [nari] since phoneme 'ㄴ' is not before '이 or y-diphthong' and phoneme 'ㄹ' is not in last syllable or after 'ㄹ', symbol for 'ㄴ' is 'n' and symbol for 'ㄹ' is 'r'. In this case, n is alveolar nasal(치조 비음), r is tap(탄설음).
후사 [ɸusa] 'ㅎ' is before 'ㅜ' and 'ㅅ' is not before '이, y-diphthong'. 'ɸ' is bilabial fricative(양순 마찰음), 's' is alveolar fricative(치조 마찰음).
샤갈[ʃagal] 'ㅅ' is before y-diphthong and 'ㄱ' is between voiced sounds.
효도[çyodo] 'ㅎ' is before y-diphthong and 'ㄷ' is between voiced sounds.
비약[p<yak>] 'ㅂ' is in first syllable and 'ㄱ' is in last syllable.
녀석[ɲyeosuk] 'ㄴ' before y-diphthong, 'ㅅ' in first syllable, 'ㄱ' in last syllable.
군령[k<uʎʎyeong] 'k<' in first syllable, though 'ㄹ' is after 'ㄹ', the 'ㄴ' sound is pronouned as 'ㄹ', so it's after 'ㄹ' phonetically.
히읗[çieut] 'ㅎ' before 'ㅣ', 'ㄷ' in last syllable
바다[p<ada] 'ㅂ' in first syllable, 'ㄷ' between voiced sounds
Seeing the following two facts, let's set representative of 'ㄹ'.
(1)'y' in '이' or 'y-diphthong' is articulated near hard palate.
(2)The consonant in Korean becomes closed sound when in last syllable.
If representative allophone of 'ㄹ' is tap(r), it's possible to explain its becoming lateral(l) with the (2). And it becomes 'ʎ', affected by '이' or 'y-diphthong', because the place of articulation moves behind.
The following represents words in virtual language with hangeul. Let's judge whether they can perform phonemic function.
감 알주: 이:노
진 상박 달라:닉
뉴: 상보: 사:다:니:
후: 친도: 전대:남
아:주 도:몽 강주:장
용봉도:로: 오:리:품기: 삭닥걸미:
On the above, all the syllables that ends with vowels, which are long vowels and, but syllables with consonants are not long. They are in complementary distribution so they can't perform phonemic function.(모음부분 공부후 다시 보기)
Identifying Separate Phonemes of bilabial(p, ɸ, b) in Virtual Language.
.pat.(돼지) .as.pa.(소) .sat.pu.(말)
.vaɸ.(책) .ak.pa.(닭) .yaɸ.mi.(마을)
.ha.nuɸ(하늘) .taɸ.si.(땅) .bat.(산)
.ha.nub.(강) .u.bu.(안) .ab.tir.(밖)
.as.ba.(보리) .vab.(과일) .u.poɸ.(아침)
p:voiceless bilabial plosive, ɸ: voiceless bilabial fricative, b:voiced bilabial plosive, .:boundary of syllable
Minimal pairs
ɸ and b are both in the last syllables. Unlike 'ɸ', 'b' is also in first syllable as 'p'. In this regard, 'p' and 'ɸ' are allophones of one phoneme, and 'b' is separate phoneme from two.
Identifying Separate Phonemes of bilabial(p, ɸ, b) in Virtual Language.
.pat.(돼지) .as.pa.(소) .sat.pu.(말)
.vaɸ.(책) .ak.pa.(닭) .yaɸ.mi.(마을)
.ha.nuɸ(하늘) .taɸ.si.(땅) .bat.(산)
.ha.nub.(강) .u.bu.(안) .ab.tir.(밖)
.as.ba.(보리) .vab.(과일) .u.poɸ.(아침)
p:voiceless bilabial plosive, ɸ: voiceless bilabial fricative, b:voiced bilabial plosive, .:boundary of syllable
Minimal pairs
ɸ and b are both in the last syllables. Unlike 'ɸ', 'b' is also in first syllable as 'p'. In this regard, 'p' and 'ɸ' are allophones of one phoneme, and 'b' is separate phoneme from two.
Introduction to Korean Phonology--Phoneme, Prosodeme, and Allophone
음운론은 음운(구체적인 변이음으로 실현됨)이 가장 기본적인 단위. 음운&변이음!
음운(音韻)의 정의:단어의 뜻을 구분해 주는 최소의 단위. e.g. '물'과 '불'은 단어의 첫머리에 온 'ㅁ'과 'ㅂ'에 의해 그 뜻이 구별됨. 또한 'ㅁ'과 'ㅂ'은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단위임.
음운의 조건: 단어의 뜻을 구별해 주며 더 작은 단위로 분석되지 않는 최소 단위여야 됨. 예) 위의 예의 'ㅁ'과 'ㅂ'.
자음은 홀로 발음되지 못하고 모음에 의지해서 발음되기 때문에 '닿소리'라고 하기도 하며 모음은 홀로 발음될 수 있기 때문에 '홀소리'라고 하기도 한다.(아, 야, 어 이에서 'ㅇ'은 음소로 보지 않음)
발화체=연쇄적으로 발성된 소리(consecutive articulated sound)
계기적? 計器的?
음운의 구성(음운의 구체적인 의미): 음소(phoneme, [분절음(segment))+운소(prosodeme)
음소:자음(consonant), 모음(vowel), 활음(glide, [반모음(semivowel)])
운소:장단(legth), 고저(pitch, 성조), 억양(intonation)
Characteristics of Phoneme
A phoneme can be analysed instrumentally from consecutive articulated sound. The phoneme covers consonant, vowel, glide(semivowel). The glide is similar to vowel, but the difference is that it cannot be pronounced alone unlike vowel.
Identification of Phoneme or Prosodeme—Minimal Pair
What is minimal pair(최소대립쌍)?: 하나의 음운만 차이 남으로써 그 뜻이 구별되는 단어 묶음
∴최소대립쌍(단어의 의미 변별과 관련∴음운의 정의와 관련됨)에서 구분되는 두 개의 소리→ 별개의 음운
Let's find examples of minimal pairs of the following. (어두는 첫음절(초성)으로 봄 옛말도 제외)
어두(語頭) 비어두(非語頭)
(가)ㅂ:ㄷ 발:달, 북:둑, 불:둘, 봉(棒):동(銅) 밥:밭, 갑:갖
(나)ㄹ:ㄴ 로비: 노비(奴婢), 라인:나인 살:산, 달:단, 알:안
(다)오:아 오이:아이, 오류(誤謬):아류(亞流) 고기:가기(嫁期)
(라)우:이 우화(寓話):이화(李花), 우유(牛乳):이유(理由) 춤:침(針), 숙달(熟達)하다:식달(識達)하다
(마)ㅎ:ㅇ 학기(學期):악기(樂機), 호(弧, 號):오(五) ????
'좋다'의 'ㅎ'도 '으' 앞이나 모음어미 앞에서 탈락 될 수 있다고 하나(김진우, 所謂 變格用言의 非變格性에 관하여, 1971) 비록 'ㅎ'은 약화될지라도 주의깊이 발음하면 매개모음이 인식되다고 한다.(남기심.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151p). (비교를 위하여 발음해보니 좋은과 놓은이 귀로는 차이를 못 느끼겠는데 성대 울림등이나 조음기관을 생각할때 'ㅎ'의 차이를 감각적으로는 느낄 수 있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차이가 너무 미미하여 나도 차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알쏭달쏭하군...)
(따라서 유일한 규칙용언으로 알려진) '좋다'를 제외하면 'ㅎ'은 초성에서만 발음된다. '낳다, 쌓다' 등의 경우도 발음에 있어서는 받침이 'ㄷ'소리로 대체되고 'ㅎ'소리의 특징은 뒤의 음절초로 전이되어 버린다. 반면 'ㅇ'은 종성에서만 음가가 존재하고 초성에는 소릿값이 없으므로 모음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소리 'ㅎ'과 'ㅇ'은 출현환경이 겹치지 않아 최소대립쌍이 존재할 수 없다.
Allophones composing a phoneme don't have overlapping phonetic environment when they are realized. This phenomenon is called 'complementary distribution'. Since allophones make up complementary distribution, if different sounds such as A, B are in complementary distribution, these two sounds are allophones rather than seperate phonemes.
(1)
(가)바다, 보살
(나)도읍, 사업
(2)
(가)라면, 로보트
(나)알, 산골
'ㅂ'의 두 변이음과 'ㄹ'의 두 변이음은 출현 분포가 어떤지 살펴보자.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변이음들이 상보적 분포를 이루는지 생각해 보자. (1)(가)는 'ㅂ'이 음절초에서 있으나 (나)는 음절말에 있다. (2)(가)의 'ㄹ'은 초성에 출현하나 (2)(나)는 종성에 출현한다. 따라서 'ㅂ', 'ㄹ' 각각의 변이음들은 상보적분포 관계에 있다.
음소 분석의 기준을 가지고 다음에 제시된 소리들이 별개의 음소임을 증명해 보자.
(가) ㄹ: ㅁ
(나) 오: 우
(다) ㅇ: ㅎ
(가) ㄹ:ㅁ에 의한 최소대립쌍으로 '마을:마음', '풀다:품다'가 있다. 그리고 각 최소대립쌍들 안의 'ㄹ: ㅁ'은 제각기 초성, 종성에 겹치는 출현분포를 가지므로 별개의 음소이다.
(나) '오:우'는 최소대립쌍으로 '오기:우기, 오동(梧桐):우동'를 가지고 이 두쌍은 어두 부분에 나타났으므로 출현분포가 겹친다.
(다)'ㅇ:ㅎ'는 최소대립쌍을 찾을 수 없고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그러나 음성적 특징이 다르므로 별개의 음소이다.
음운은 추상적이나 음가는 실질적인 용어이다.
음소 'ㅂ'가 발음될 때 바(p<)다, 삽(p>), 아버( b)지, 울보(b)로 발음된다. 이 때 p<, p>, b가 음소 'ㅂ'음가이다. (나의 추측...)
음소ㅣ 비고 ㅣ 위치(나타나는 환경)
ㅣ ————————————————————————
ㅣ ㅣ 어두 음절말 유성음 사이
———————————————————————————————
ㅣ 기호 ㅣ p< p> b
ㅂ ㅣ 특징 ㅣ 무성외파음 무성미파음 유성외파음
ㅣ 예 ㅣ 바위, 바람 겁, 상업 깜부기, 아버지
———————————————————————————————
ㅣ 기호 ㅣ t< t> d
ㄷ ㅣ 특징 ㅣ 무성외파음 무성미파음 유성외파음
ㅣ 예 ㅣ 도랑, 다락 믿고, 디귿 면도, 사다리
———————————————————————————————
ㅣ 기호 ㅣ k< k> g
ㄱ ㅣ 특징 ㅣ 무성외파음 무성미파음 유성외파음
ㅣ 예 ㅣ 고을, 구름 바닥, 미역 감기, 개구리
'ㅂ, ㄷ, ㄱ'의 세 변이음 중 음절말에 오는 변이음은 나머지 두 변이음과 비교해 볼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생각해 보자.
(음절말에 오는 'ㅂ'은 'p>'으로 나타낸다. 'p>'은 '폐쇄-지속'만 거치고 '파열'은 생략된다. 성대가 안 울리는 무성음이다.
'p<'은 '폐쇄-지속-파열'의 세 단계를 모두 거치며 성대가 안 울리는 무성음이다.
유성음 사이에 오는 'ㅂ'은 '폐쇄-지속-파열'의 세 단계를 모두 거치며,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p>은 '폐쇄-지속'만 거치고 '파열'은 생략되는 미파음인데 비해 'p<', 'b'은 '폐쇄-지속-파열' 세 단계를 모두 거치는 파열음이다. 또한 'p>'은 성대가 안 울리는 무성음인데 비하여 'b'은 유성음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국어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언어학자가 국어를 분석하면서 'p<'와 'd'를 별개의 음소로 설정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그 사람이 영어권 사람아닌가? 왜 그런지 알 것은 같은데 영어 음운론을 공부를 안 해서 설명을 못하겠네...)
미국식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음성학 비교 참고용 사이트 아래
http://www.uiowa.edu/~acadtech/phonetics/#
http://www.uni-bielefeld.de/lili/personen/vgramley/teaching/HTHS/IPA.html
<참고> 유성음(voiced sound)는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는 소리. 유성음을 발음할 때 성대 부근에 손을 대면 울림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반면에 무성음(voiceless sound)은 성대가 진동하지 않는 소리이다. 그런데 국어에서는 유성성의 여부가 음운론적으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국어 화자들은 어떤 소리가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를 의식적으로 느끼기 어렵다.(Then, since the existence of voiced sound doesn't have phonological importance, it's concerned with phonetics. But what is concerned with 'writing' is phonology between two.) 이것을 달리 말하면 국어에서 음소의 유성성 여부는 서로 다른 음소를 구분하는 데 있어 큰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하겠다.
Allophones of 'ㄹ'
'ㄹ'의 변이음은 탄설음(tap)과 설측음(lateral)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탄설음은 혀끝이 윗임몸에 살짝 닿았다가 떨어지면서 발음되는 소리이고 설측음은 혀끝이 윗임몸에 계속 닿은 채 혀의 양 측면으로 공기가 나가면서 발음되는 소리이다.
설측음
<언어> 혀끝을 윗잇몸에 아주 붙이고, 혀 양쪽의 트인 데로 날숨을 흘려 내는 소리. ‘쌀’, ‘길’ 따위의 ‘ㄹ1’ 음이다. [비슷한 말] 측음(側音)ㆍ혀옆소리.(윗잇몸에 안 붙일 때도 있는데 이런 건 표준발음으로 안 보는 건가?)
lateral
(phonetics) a consonant sound which is produced by placing a part of the tongue against the palate so that air flows around it on both sides, for example /l/ in lie.
——————————————————————
l 설측음 음절말, 'ㄹ' 뒤 날, 물론
——————————————————————
탄설음
<언어> 혀끝과 잇몸 사이가 한 번 닫혔다가 열리는 동안 혀 옆으로는 공기가 새어 나가면서 나는 소리. 우리말의 ‘ㄹ1’이 여기에 해당한다. [비슷한 말] 두들김소리ㆍ탄음.
tap
(phonetics) a speech sound which is produced by striking the tongue quickly and lightly against the part of the mouth behind the 'upper front teeth(앞윗니)'. The /t/ in later in American English(예를 들면 미국식발음의 party에서 /t/) and the /r/ in very in some British accents(이 때 몇몇 영국 악센트의 /r/은 미국식 발음 party의 /t/임) are examples of taps.
<FYI> Another allophone of 'ㄹ'
Allophones of 'ㄹ' in Korean is divided into lateral group and tap group, and lateral can subdivided in two, thus if y-diphthongs such as '야, 여, 요, or 유' follow a sound, the place of articulation is further behind. In this environment, lateral is indicated by 'ʎ'(palatal lateral approximant). 'ㄹㄹ' in '달력, 물리' is marked by 'ʎʎ', 'l' and 'ʎ' are allophones that have different place of articulation.
Let's group allophones of 'ㄹ' by their same quality.
빨라, 나라, 리본, 훌륭, 할머니, 별로, 머리, 물론, 출력, 수로
설측음 계열(Laterals) /l/: 빨라, 훌륭, 할머니, 별로, 물론, 출력
탄설음 계열(taps) /r/: 나라, 리본, 머리, 수로
/l/ 중에서 /ʎ/:빨라, 훌륭, 별로, 물론, 출력
Allophones of 'ㅎ'(나)ㄹ:ㄴ 로비: 노비(奴婢), 라인:나인 살:산, 달:단, 알:안
(다)오:아 오이:아이, 오류(誤謬):아류(亞流) 고기:가기(嫁期)
(라)우:이 우화(寓話):이화(李花), 우유(牛乳):이유(理由) 춤:침(針), 숙달(熟達)하다:식달(識達)하다
(마)ㅎ:ㅇ 학기(學期):악기(樂機), 호(弧, 號):오(五) ????
'좋다'의 'ㅎ'도 '으' 앞이나 모음어미 앞에서 탈락 될 수 있다고 하나(김진우, 所謂 變格用言의 非變格性에 관하여, 1971) 비록 'ㅎ'은 약화될지라도 주의깊이 발음하면 매개모음이 인식되다고 한다.(남기심.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151p). (비교를 위하여 발음해보니 좋은과 놓은이 귀로는 차이를 못 느끼겠는데 성대 울림등이나 조음기관을 생각할때 'ㅎ'의 차이를 감각적으로는 느낄 수 있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차이가 너무 미미하여 나도 차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알쏭달쏭하군...)
(따라서 유일한 규칙용언으로 알려진) '좋다'를 제외하면 'ㅎ'은 초성에서만 발음된다. '낳다, 쌓다' 등의 경우도 발음에 있어서는 받침이 'ㄷ'소리로 대체되고 'ㅎ'소리의 특징은 뒤의 음절초로 전이되어 버린다. 반면 'ㅇ'은 종성에서만 음가가 존재하고 초성에는 소릿값이 없으므로 모음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소리 'ㅎ'과 'ㅇ'은 출현환경이 겹치지 않아 최소대립쌍이 존재할 수 없다.
Allophones composing a phoneme don't have overlapping phonetic environment when they are realized. This phenomenon is called 'complementary distribution'. Since allophones make up complementary distribution, if different sounds such as A, B are in complementary distribution, these two sounds are allophones rather than seperate phonemes.
(1)
(가)바다, 보살
(나)도읍, 사업
(2)
(가)라면, 로보트
(나)알, 산골
'ㅂ'의 두 변이음과 'ㄹ'의 두 변이음은 출현 분포가 어떤지 살펴보자.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변이음들이 상보적 분포를 이루는지 생각해 보자. (1)(가)는 'ㅂ'이 음절초에서 있으나 (나)는 음절말에 있다. (2)(가)의 'ㄹ'은 초성에 출현하나 (2)(나)는 종성에 출현한다. 따라서 'ㅂ', 'ㄹ' 각각의 변이음들은 상보적분포 관계에 있다.
음소 분석의 기준을 가지고 다음에 제시된 소리들이 별개의 음소임을 증명해 보자.
(가) ㄹ: ㅁ
(나) 오: 우
(다) ㅇ: ㅎ
(가) ㄹ:ㅁ에 의한 최소대립쌍으로 '마을:마음', '풀다:품다'가 있다. 그리고 각 최소대립쌍들 안의 'ㄹ: ㅁ'은 제각기 초성, 종성에 겹치는 출현분포를 가지므로 별개의 음소이다.
(나) '오:우'는 최소대립쌍으로 '오기:우기, 오동(梧桐):우동'를 가지고 이 두쌍은 어두 부분에 나타났으므로 출현분포가 겹친다.
(다)'ㅇ:ㅎ'는 최소대립쌍을 찾을 수 없고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그러나 음성적 특징이 다르므로 별개의 음소이다.
음운은 추상적이나 음가는 실질적인 용어이다.
음소 'ㅂ'가 발음될 때 바(p<)다, 삽(p>), 아버( b)지, 울보(b)로 발음된다. 이 때 p<, p>, b가 음소 'ㅂ'음가이다. (나의 추측...)
음소ㅣ 비고 ㅣ 위치(나타나는 환경)
ㅣ ————————————————————————
ㅣ ㅣ 어두 음절말 유성음 사이
———————————————————————————————
ㅣ 기호 ㅣ p< p> b
ㅂ ㅣ 특징 ㅣ 무성외파음 무성미파음 유성외파음
ㅣ 예 ㅣ 바위, 바람 겁, 상업 깜부기, 아버지
———————————————————————————————
ㅣ 기호 ㅣ t< t> d
ㄷ ㅣ 특징 ㅣ 무성외파음 무성미파음 유성외파음
ㅣ 예 ㅣ 도랑, 다락 믿고, 디귿 면도, 사다리
———————————————————————————————
ㅣ 기호 ㅣ k< k> g
ㄱ ㅣ 특징 ㅣ 무성외파음 무성미파음 유성외파음
ㅣ 예 ㅣ 고을, 구름 바닥, 미역 감기, 개구리
'ㅂ, ㄷ, ㄱ'의 세 변이음 중 음절말에 오는 변이음은 나머지 두 변이음과 비교해 볼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생각해 보자.
(음절말에 오는 'ㅂ'은 'p>'으로 나타낸다. 'p>'은 '폐쇄-지속'만 거치고 '파열'은 생략된다. 성대가 안 울리는 무성음이다.
'p<'은 '폐쇄-지속-파열'의 세 단계를 모두 거치며 성대가 안 울리는 무성음이다.
유성음 사이에 오는 'ㅂ'은 '폐쇄-지속-파열'의 세 단계를 모두 거치며,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p>은 '폐쇄-지속'만 거치고 '파열'은 생략되는 미파음인데 비해 'p<', 'b'은 '폐쇄-지속-파열' 세 단계를 모두 거치는 파열음이다. 또한 'p>'은 성대가 안 울리는 무성음인데 비하여 'b'은 유성음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국어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언어학자가 국어를 분석하면서 'p<'와 'd'를 별개의 음소로 설정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그 사람이 영어권 사람아닌가? 왜 그런지 알 것은 같은데 영어 음운론을 공부를 안 해서 설명을 못하겠네...)
미국식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음성학 비교 참고용 사이트 아래
http://www.uiowa.edu/~acadtech/phonetics/#
http://www.uni-bielefeld.de/lili/personen/vgramley/teaching/HTHS/IPA.html
<참고> 유성음(voiced sound)는 성대의 진동을 수반하는 소리. 유성음을 발음할 때 성대 부근에 손을 대면 울림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반면에 무성음(voiceless sound)은 성대가 진동하지 않는 소리이다. 그런데 국어에서는 유성성의 여부가 음운론적으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국어 화자들은 어떤 소리가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를 의식적으로 느끼기 어렵다.(Then, since the existence of voiced sound doesn't have phonological importance, it's concerned with phonetics. But what is concerned with 'writing' is phonology between two.) 이것을 달리 말하면 국어에서 음소의 유성성 여부는 서로 다른 음소를 구분하는 데 있어 큰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하겠다.
Allophones of 'ㄹ'
'ㄹ'의 변이음은 탄설음(tap)과 설측음(lateral)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탄설음은 혀끝이 윗임몸에 살짝 닿았다가 떨어지면서 발음되는 소리이고 설측음은 혀끝이 윗임몸에 계속 닿은 채 혀의 양 측면으로 공기가 나가면서 발음되는 소리이다.
설측음
<언어> 혀끝을 윗잇몸에 아주 붙이고, 혀 양쪽의 트인 데로 날숨을 흘려 내는 소리. ‘쌀’, ‘길’ 따위의 ‘ㄹ1’ 음이다. [비슷한 말] 측음(側音)ㆍ혀옆소리.(윗잇몸에 안 붙일 때도 있는데 이런 건 표준발음으로 안 보는 건가?)
lateral
(phonetics) a consonant sound which is produced by placing a part of the tongue against the palate so that air flows around it on both sides, for example /l/ in lie.
기호 특징 위치 예
——————————————————————
l 설측음 음절말, 'ㄹ' 뒤 날, 물론
——————————————————————
r 탄설음 'ㄹ' 뒤를 제외한 음절초 라면, 노루
탄설음
<언어> 혀끝과 잇몸 사이가 한 번 닫혔다가 열리는 동안 혀 옆으로는 공기가 새어 나가면서 나는 소리. 우리말의 ‘ㄹ1’이 여기에 해당한다. [비슷한 말] 두들김소리ㆍ탄음.
tap
(phonetics) a speech sound which is produced by striking the tongue quickly and lightly against the part of the mouth behind the 'upper front teeth(앞윗니)'. The /t/ in later in American English(예를 들면 미국식발음의 party에서 /t/) and the /r/ in very in some British accents(이 때 몇몇 영국 악센트의 /r/은 미국식 발음 party의 /t/임) are examples of taps.
<FYI> Another allophone of 'ㄹ'
Allophones of 'ㄹ' in Korean is divided into lateral group and tap group, and lateral can subdivided in two, thus if y-diphthongs such as '야, 여, 요, or 유' follow a sound, the place of articulation is further behind. In this environment, lateral is indicated by 'ʎ'(palatal lateral approximant). 'ㄹㄹ' in '달력, 물리' is marked by 'ʎʎ', 'l' and 'ʎ' are allophones that have different place of articulation.
Let's group allophones of 'ㄹ' by their same quality.
빨라, 나라, 리본, 훌륭, 할머니, 별로, 머리, 물론, 출력, 수로
설측음 계열(Laterals) /l/: 빨라, 훌륭, 할머니, 별로, 물론, 출력
탄설음 계열(taps) /r/: 나라, 리본, 머리, 수로
/l/ 중에서 /ʎ/:빨라, 훌륭, 별로, 물론, 출력
Allophones of 'ㅎ' is largely dependent on quality of following vowels. They are realized as separate allophones by following vowel's place of articulation or means of articulation.
symbol quality place example
ɸ bilabial fricative(양순 마찰음) before '우', '위' 휘다, 후진
ç palatal fricative(경구개 마찰음) before '이, y-diphthongs' 힘, 효도
x uvular fricative(연구개 마찰음) before '으' 흙, 흐르다
h glottal fricative(후두 마찰음) before other vowels 하늘, 호랑이
'ㅎ'의 변이음 분류해 보기
흔(x )적, 희(ç )망, 호(h)미, 휘(ɸ)파람, 흠(h)집, 후(ɸ)두, 형(ç)제, 헝(h)겊
"'ㅎ'은 어두에서만 나타날 뿐 어중에는 올 수 없다. 'ㅎ'이 어중에 오면 탈락하거나 다른 음으로 바뀐다. 그런데 어두에 올 때에도 후행 모음에 따라 다양한 변이음으로 실현된다. 즉 'ㅎ'은 그 어떤 자음보다도 조음 위치가 안정적이지 못한 것이다. 이것은 'ㅎ'이 구강 내에서 발음되는 소리가 아니고 후두(larynx)에서 발음되는 소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후행하는 모음의 영향을 많이 입어 조음 위치가 다양하게 변화한다.(32-3p)"
Allohones of 'ㄴ, ㅅ'
Allophones of 'ㄴ, ㅅ' is divided into two groups by following vowels. One is the allophone near the palate(경구개) and the other is near the alveolar(치조). Allophones near hard palate have '이' or 'y-diphthong' following it. In the other environment, allophones are articulated near alveolar.
phoneme remarks place
before '이, y-diphthong' any other environments
symbole ɲ n
ㄴ quality palatal nasal(경구개 비음) alveolar nasal(치조 비음)
emxample 은닉, 시늉, 녀석 나라, 노루————————————————————————————————————————
symbole ʃ s
ㄴ quality palatal fricative(경구개 마찰음) alveolar fricative(치조 마찰음)
emxample 시작, 하셔서 소라, 사람
The Representative of Allophones
The representative of allophones is set in some cases such as allophones of a phoneme are more than a few. The representative is not chosen at random, but chosen considering which can well explain the occurrences of other allophones. That is, the realization from representative allophone to other allophones should be natural. For instance, the representative allophone among 'k<, k>, and g', which are allophones of 'ㄱ', is 'k<'. Since consonants become closed sound when it is in last syllable,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process of 'k<' to 'k>', and 'g' between voiced sounds is also possible by assimilation. However, if either 'k>' or 'g' is representative allophone, it's difficult to explain other allophones.
The representative allophone performs a certain role in classifying phonemes. For instance, 'ㅎ' is articulated in various places in mouth cavity, but classified as glottal sound because 'h' is representative. In the same vein, though there are
sounds which is released and which is not among allophones of 'ㄱ', there's little problem in calling 'ㄱ' as plosive(破裂音)since the representative allophone is 'k<', which is 'voiceless explosive(無聲 外破音)'.
Summarized and Adapted from
:'국어음운론강의(이진호),한국어의 표준발음과 현실발음',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표준국어대사전
Wednesday, March 13, 2013
KLSD word-building(word-formation)
Classification by Word formation
word={simple word(단일어)}∪{complex word(복합어)}
{complex word(복합어)}={derived word(파생어)}∪{compound word(합성어)}
코웃음 코, 웃-, -(으)ㅁ
IC(Immediate continuents): 코+웃음 ⇒both two are lexical⇒compound word(합성어)
비웃음 비-, 웃-, -(으)ㅁ
IC:비웃-+-(으)ㅁ ⇒ one of IC has grammatical meaning⇒derived word(파생어)
감옥살이 감옥+살이
시집살이 시집+살이
words not easily analyzed by IC(compound word or derived word?)
해돋이, 고기잡이, 감옥살이
In terms of morph: 해, 고기, 감옥→해+돋이,고기+잡이
But 돋이, 잡이, 살이 don't exist
But 해(가) 돋-, 고기(를) 잡-, 감옥(에) 살-
Phrase as a Base Unit
word={simple word(단일어)}∪{complex word(복합어)}
{complex word(복합어)}={derived word(파생어)}∪{compound word(합성어)}
코웃음 코, 웃-, -(으)ㅁ
IC(Immediate continuents): 코+웃음 ⇒both two are lexical⇒compound word(합성어)
비웃음 비-, 웃-, -(으)ㅁ
IC:비웃-+-(으)ㅁ ⇒ one of IC has grammatical meaning⇒derived word(파생어)
감옥살이 감옥+살이
시집살이 시집+살이
words not easily analyzed by IC(compound word or derived word?)
해돋이, 고기잡이, 감옥살이
In terms of morph: 해, 고기, 감옥→해+돋이,고기+잡이
But 돋이, 잡이, 살이 don't exist
But 해(가) 돋-, 고기(를) 잡-, 감옥(에) 살-
Phrase as a Base Unit
- 꿩이밥(꿩의+밥), 닭의난초(닭의+난초), 김의털(김의+털) previous elements, botanical names, consist of phrases having noun+prenoun particle(관형격조사)+noun
- 닭의똥, 닭의장, 닭의홰--not botanical but listed in a dictionary noun+prenoun particle
- 젊은이(IC: 젊은+이), 길짐승(IC:길+짐승), 건널목(IC:건널+목) 젊은, 길, 건널 are 'verb or adjective stem+prenominal ending(관형사형 어미)', so strictly speaking, the unit is wider than a word, and though some immediate continuents are not in the unit of a word they can't be seen as derived words since they are not prefixes or suffixes. If they must be analysed, they are closer to compound word.
Tuesday, March 12, 2013
헷갈릴 때 참고용 메모 (從屬的 連結語尾, 相)
Subordinate Ending Classification
인과: -(으)니, -(으)니까, -어/아서, -느라고
조건:-(으)면, -거든, -어/아야, -(으)ㄴ들
목적:-(으)러, -(으)려고, -고자
평가:-다시피,-건대
결과:-게(끔),-도록,-(으)라고
( 김광해 밖에, 국어지식탐구)
. . .
시간: -고, -(으)며, -(으)면서, -어/아
이유.원인: -어/아서, -(으)니까, -(으)므로, -느라고
양보: '-어/아도, (으)ㄴ들, -(으)ㄹ지라도
조건:-(으)면, -거든, -어/아야
상황 제시: -(으)니, -는데, -건만
목적:-(으)러
의도:-(으)려고, -고자
결과 유도:-게, -도록, -(으)라고
. . .
(이익섭.이상억.채완,한국의 언어)
조건이나 가정:-(으)면, -(으)라면, -거든, -더라도
이유나 원인:-(으)니까, -(으)므로, -어서/아서/러서
한 가지 일이 다른 일로 바뀌는 것을 보이는 것: -다가
다른 일이 더 보태지거나 점점 더해감을 보임:-다가
다른 일이 더 보태지거나 점점 더해감을 보이는 것:-(으)ㄹ뿐더러, -(으)ㄹ수록
의도를 보이는 것:-(으)려고, -고자
목적을 나타내는 것: -(으)러
어느 쪽이나 상관이 없음을 보이는 것: -거나, -든지
반드시 그래야 함을 보이는 것: -어야/아야
어떤 일의 배경을 보이는 것:-는데, -(으)ㄴ데
어떤 행위가 어떤 정도까지 이름을 보이는 것:-도록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아 있었다' 완료 동작상
동작상이나 양태성 추가해야 될 때 '-어/아'로 본용언을 보조용언에 연결
보조용언 소거해도 기본 의미 안 바뀜 cf. -게 되다
대등적, 종속적, 보조적 연결어미의 구분은 통사론과 의미론에 바탕을 둠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대등적 연결어미
봄이 가고 여름이 왔다 ⇒시간적 선후 관계 ∴의미상 종속적 연결어미
아이들이 축구를 하고 있다. ⇒보조적 연결어미
하는'의 '는'을 '느'와 'ㄴ'으로 분석한 것은 '하던'과는 계열관계에 있고 '한'과는 통합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즉, 하는에 '는'자리에 '던'이 갈아들 수 있고, '하는'은 '한'에 '느'가 끼어들 수 있다.
하{는, 던} 하+ -느+ -ㄴ
인과: -(으)니, -(으)니까, -어/아서, -느라고
조건:-(으)면, -거든, -어/아야, -(으)ㄴ들
목적:-(으)러, -(으)려고, -고자
평가:-다시피,-건대
결과:-게(끔),-도록,-(으)라고
( 김광해 밖에, 국어지식탐구)
. . .
시간: -고, -(으)며, -(으)면서, -어/아
이유.원인: -어/아서, -(으)니까, -(으)므로, -느라고
양보: '-어/아도, (으)ㄴ들, -(으)ㄹ지라도
조건:-(으)면, -거든, -어/아야
상황 제시: -(으)니, -는데, -건만
목적:-(으)러
의도:-(으)려고, -고자
결과 유도:-게, -도록, -(으)라고
. . .
(이익섭.이상억.채완,한국의 언어)
조건이나 가정:-(으)면, -(으)라면, -거든, -더라도
이유나 원인:-(으)니까, -(으)므로, -어서/아서/러서
한 가지 일이 다른 일로 바뀌는 것을 보이는 것: -다가
다른 일이 더 보태지거나 점점 더해감을 보임:-다가
다른 일이 더 보태지거나 점점 더해감을 보이는 것:-(으)ㄹ뿐더러, -(으)ㄹ수록
의도를 보이는 것:-(으)려고, -고자
목적을 나타내는 것: -(으)러
어느 쪽이나 상관이 없음을 보이는 것: -거나, -든지
반드시 그래야 함을 보이는 것: -어야/아야
어떤 일의 배경을 보이는 것:-는데, -(으)ㄴ데
어떤 행위가 어떤 정도까지 이름을 보이는 것:-도록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아 있었다' 완료 동작상
동작상이나 양태성 추가해야 될 때 '-어/아'로 본용언을 보조용언에 연결
보조용언 소거해도 기본 의미 안 바뀜 cf. -게 되다
대등적, 종속적, 보조적 연결어미의 구분은 통사론과 의미론에 바탕을 둠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대등적 연결어미
봄이 가고 여름이 왔다 ⇒시간적 선후 관계 ∴의미상 종속적 연결어미
아이들이 축구를 하고 있다. ⇒보조적 연결어미
하는'의 '는'을 '느'와 'ㄴ'으로 분석한 것은 '하던'과는 계열관계에 있고 '한'과는 통합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즉, 하는에 '는'자리에 '던'이 갈아들 수 있고, '하는'은 '한'에 '느'가 끼어들 수 있다.
하{는, 던} 하+ -느+ -ㄴ
Korean Language Study Diary
(서법, 어미결합.종류, 상대높임법, 부사전성어미 문제)
-어서/아서/여서, -어라/아라;
-었/았/였-; -(으)시-, -(으)니, -(으)ㄴ, -(으)ㄹ
Endings like ' -느-, -더-, -(으)리-, -(으)니-, -것-' are perceived to make one unit combined with following ending, as '-느냐'.
어미결합 예
-느-:-느냐
(Don't know if there's any other examples... I'll check it out later again after studying mood and aspect part further.)
-더-: -더냐, -시더냐, -시었더냐, -겠더냐, -겠었더냐, -더니, -더라, -더군(<구나), -더구려
-으리:-으리다, -으리라, -으리니, -으리니라,
-것-: -것다
(just one?....)
closing ending(종결어미) signifies both honorific(존비법) and sentence type(문체법).
존비법 signifies social relations.
문체법 signifies functional relations.
//
(Arr... I want to buy particle and ending dictionary, but this month's personal financial situation is not so good to buy it. ㅠ)
Kinds of Endings
{Ending, 어미}={Prefinal Ending, 선어말어미}∪{Final Ending, 어말어미}
{Final Ending}={Closing Ending 종결어미}∪{Non-closing Ending 비종결어미}
{Non-closing Ending}={Linking Ending, 연결어미}∪{Conversional Ending, 전성어미}
{Linking Ending}={subsidiary ending, 보조적 연결어미}∪{coordinate ending, 대등적 연결어미}∪{subordinate ending, 종속적 연결어미}
철수가 책을 {읽는다, 읽는구나, 읽느냐}
평서형, 감탄형, 의문형 어미
철수야, 책을 {읽어라, 읽자}
명령형, 청유형 어미
철수야, 내가 책을 {읽으마}
약속형 어미
철수야, 책을 {읽으렴(<읽으려무나, 찢을라}
허락형 어미, 경계형 어미
존비법(상대높임법):해라
종결어미
평서형 -는다
:
임금 수준만으로는 실제의 생활 수준을 측량할 수 없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갖는다.
정치적 주장은 검찰권 독립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헤겔을 누락시킨 이 책은 일정한 편향성을 갖는다.
수출업체이기 때문에 환율 변동에 따라 실적이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감탄형
"오! 모두들 뭔가를 무서워하는구나."
"가련한 자여, 소를 타고서 소를 찾는구나."
내 배움의 꿈은 이렇게 사라지는구나.'
'쌔애-' 하고 들리는 매미소리가 그 어느 음악소리보다 더 아름답게 들리는구나
Click here for search for examples in corpus
Closing endings in terms of relative honorifics are divided into formal and informal, and again divided into honorific and non-honorific. In formal register, there are 합쇼체, 하오체 in honorific; 하게체, 해라체 in non-honorific, whereas 해요체 in honorific and 해체 in non-honorific fall into informal register.
The usage of informal register is called amiable usage(정감적용법), which shows personal feeling or attitude toward hearer. Formal register is called ceremonial usage(의례적용법) affected by age, job, position.
e.g. 선생님 안녕하셨습니까? 오래간 만에 뵙습니다. 그런데 하시던 일은 잘 되셨나요. 그 동안 고생이 많으셨지요?
//
마음을 숨기게 된다.
The essential meaning in '-게' doesn't change even after the erasure of subsidiary verb(보조동사) '된다'.
What applied to passive applies to '-게 하다', which denotes causative, in the same way.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cf. 사람들이 놀랐다.
The only difference is that causative sentence(사동문) has changed to initiative sentence(주동문).
Subsidiary linking ending(보조적 연결어미) '-게'
보조적 연결어미 '-게' has no problem when concerned with subject, object argument(necessary constituent in a sentence, 논항), yet it acts as adverb or substitute for linking ending, so it's difficult to define the function. (?? hmmm)
In this regard, it's erroneous to treat '-게' is to consistently treat it as suffix.
바깥이 잘 보이게 창문을 활짝 열어라. is inapt for retracting the subsidiary function in terms that '-게' is interchangeable with subordinate linking ending '-도록' (though the subject '바깥이' can be left out).
Ending '-게' combines subsidiary with adverbial function. In prescriptive grammar, the two functions are treated polysemically rather than homonymically.
In the first place, '-게' used subsidiarily takes noun (phrase) subject and object as arguments without exception, and then there are more than 30 per cent figure that '-게' is used subsidiarily. It's difficult to set a standard because of ambiguous line between requiring argument and not. Therefore it is treated as subsidiary function has an adverbial function and can has a tinge of derivative function if necessary.
References:표준국어대사전, 말뭉치찾기, 우리말문법론(2008: 169~176, 표준국어문법론(2011:341~342)
-어서/아서/여서, -어라/아라;
-었/았/였-; -(으)시-, -(으)니, -(으)ㄴ, -(으)ㄹ
Endings like ' -느-, -더-, -(으)리-, -(으)니-, -것-' are perceived to make one unit combined with following ending, as '-느냐'.
어미결합 예
-느-:-느냐
(Don't know if there's any other examples... I'll check it out later again after studying mood and aspect part further.)
-더-: -더냐, -시더냐, -시었더냐, -겠더냐, -겠었더냐, -더니, -더라, -더군(<구나), -더구려
-으리:-으리다, -으리라, -으리니, -으리니라,
-것-: -것다
(just one?....)
closing ending(종결어미) signifies both honorific(존비법) and sentence type(문체법).
존비법 signifies social relations.
문체법 signifies functional relations.
//
(Arr... I want to buy particle and ending dictionary, but this month's personal financial situation is not so good to buy it. ㅠ)
Kinds of Endings
{Ending, 어미}={Prefinal Ending, 선어말어미}∪{Final Ending, 어말어미}
{Final Ending}={Closing Ending 종결어미}∪{Non-closing Ending 비종결어미}
{Non-closing Ending}={Linking Ending, 연결어미}∪{Conversional Ending, 전성어미}
{Linking Ending}={subsidiary ending, 보조적 연결어미}∪{coordinate ending, 대등적 연결어미}∪{subordinate ending, 종속적 연결어미}
철수가 책을 {읽는다, 읽는구나, 읽느냐}
평서형, 감탄형, 의문형 어미
철수야, 책을 {읽어라, 읽자}
명령형, 청유형 어미
철수야, 내가 책을 {읽으마}
약속형 어미
철수야, 책을 {읽으렴(<읽으려무나, 찢을라}
허락형 어미, 경계형 어미
존비법(상대높임법):해라
종결어미
평서형 -는다
:
임금 수준만으로는 실제의 생활 수준을 측량할 수 없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갖는다.
정치적 주장은 검찰권 독립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헤겔을 누락시킨 이 책은 일정한 편향성을 갖는다.
수출업체이기 때문에 환율 변동에 따라 실적이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감탄형
"오! 모두들 뭔가를 무서워하는구나."
"가련한 자여, 소를 타고서 소를 찾는구나."
내 배움의 꿈은 이렇게 사라지는구나.'
'쌔애-' 하고 들리는 매미소리가 그 어느 음악소리보다 더 아름답게 들리는구나
Click here for search for examples in corpus
Closing endings in terms of relative honorifics are divided into formal and informal, and again divided into honorific and non-honorific. In formal register, there are 합쇼체, 하오체 in honorific; 하게체, 해라체 in non-honorific, whereas 해요체 in honorific and 해체 in non-honorific fall into informal register.
The usage of informal register is called amiable usage(정감적용법), which shows personal feeling or attitude toward hearer. Formal register is called ceremonial usage(의례적용법) affected by age, job, position.
e.g. 선생님 안녕하셨습니까? 오래간 만에 뵙습니다. 그런데 하시던 일은 잘 되셨나요. 그 동안 고생이 많으셨지요?
//
마음을 숨기게 된다.
The essential meaning in '-게' doesn't change even after the erasure of subsidiary verb(보조동사) '된다'.
What applied to passive applies to '-게 하다', which denotes causative, in the same way.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cf. 사람들이 놀랐다.
The only difference is that causative sentence(사동문) has changed to initiative sentence(주동문).
Subsidiary linking ending(보조적 연결어미) '-게'
보조적 연결어미 '-게' has no problem when concerned with subject, object argument(necessary constituent in a sentence, 논항), yet it acts as adverb or substitute for linking ending, so it's difficult to define the function. (?? hmmm)
- 우리도 이번 국제대회에 출전하게 된다.
- 엄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했다.
- 진달래가 아름답게 피었다. performs as constituent adverb(성분부사) modifying '피었다' of course it can postulate noun '빛깔' as an attribute of noun subject '진달래', but this not about connotation in existence.
- 그 아이는 코가 참 예쁘게 생겼다. '-게' that attaches to adjectives performs as constituent adverb like '-이(히)' at times, but it often requires noun (phrase) as its argument like this example.
In this regard, it's erroneous to treat '-게' is to consistently treat it as suffix.
바깥이 잘 보이게 창문을 활짝 열어라. is inapt for retracting the subsidiary function in terms that '-게' is interchangeable with subordinate linking ending '-도록' (though the subject '바깥이' can be left out).
Ending '-게' combines subsidiary with adverbial function. In prescriptive grammar, the two functions are treated polysemically rather than homonymically.
In the first place, '-게' used subsidiarily takes noun (phrase) subject and object as arguments without exception, and then there are more than 30 per cent figure that '-게' is used subsidiarily. It's difficult to set a standard because of ambiguous line between requiring argument and not. Therefore it is treated as subsidiary function has an adverbial function and can has a tinge of derivative function if necessary.
References:표준국어대사전, 말뭉치찾기, 우리말문법론(2008: 169~176, 표준국어문법론(2011:341~342)
Saturday, March 2, 2013
Difference between '-아서/-어서' and '(으)니까'
grammatical morphemes, '-아서' and '-어서', are allomorphs which are conditioned by
phonology, i.e. inflectional affix(ending) '-아서' affixes to stems that ends with 'ㅏ, ㅗ', whereas '-어서' to stems that don't ends with 'ㅏ, ㅗ', or to the each stem of 이다, 아니다(e.g. 이어서, 아니어서), thus they have no difference in grammatical meaning. Also '-으니까' and '-니까' are allomorphs.
Used in the subordinate clause, '-아서/-어서' and '-(으)니까' are nearly the same when they signifies the cause, grounds of the following clause(main clause), but the slight distinction is '-(으)니까' conveys the meaning of premise, which signifies the cause is no wonder or already known.
the declarative sentence:
정원에 꽃이 '가득해서/가득하니까' 나비가 훨훨 날아다닌다. The butterflies flutter around the garden since the garden is covered with flowers.
exclamatory sentence:
꽃이 많으니(까) 향기가 참 좋구나! What a nice fragrance from many flowers!
꽃이 많아서/많이 있어서 보기 좋구나! How pleasant to see many flowers!
interrogative sentence:
꽃이 많이 있으니(까) 기분이 좋죠?
꽃이 많이 있어서/많아서 기분이 좋죠?
But they have syntactical differences in distribution as the following in:
imperative sentence:
'과자가 많아서/많이 있어서' 친구들이랑 나눠 먹으렴.(x)
propositive sentence: 과자가 많으니까 친구들이랑 나눠 먹자. Let's share these cookies since they are many.
과자가 많아서 친구들이랑 나눠 먹자. (x)
On the other hand than the meaning of reason, '-아서/-어서' signifies the clause containing it precedes in time, otherwise signifies a method or means. , e.g. 돌을 들어서 옮겼다. '걸어서 시내까지 나갔다'.
In addition, subordinate linking ending(연결어미) '-으니' is used for explaining other fact following statement of certain fact.
Subscribe to:
Posts (Atom)